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가곡 부문 심사자료:대우스님작시 조영근작곡(곡명,얼마나 닦아야 거울마음 닮을까)

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가곡 작시  및 가창부문 추천 작품

               -대우스님 작시 조영근 작곡 [얼마나 닦아야 거울마음 닮을까]

 

제2회 시상식(2009.12.5)에서 종합 심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유한준 심사위원장 

 

    아래 곡은 동원정사 지하스님을 비롯해 봉은사 법등회 박정애 불자와 서울 양천구 목동 법안정사  이선재 불자,법시사 주간 이지형법사, 대구 동화사 노상인 불자194명의 추천으로 접수된 불교가곡부문 작사및 가창 부문 심사자료입니다. 이에 대한불교 찬불가제정위원회 임원 및 불교음반 판매업소에 근무하는 협력회원과 한국방송감청관리소 종교방송 모니터요원들의 의견은 4월 10일까지 당회 전용메일(kbm0747@hanmail.net)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일반 불교신도들의 의견도 이 메일 계정으로 접수합니다. 1/4분기 수상곡 발표는 4월 25일입니다.

 

불기2554년 1월 10일

 

 한국불교청소년문화진흥회   이사장     초연 박용열

    대한불교찬불가제정위원회 총재 운문/위원장 유 정

                                          사무총장 백운 곽 영 석

 

 

노랫말 가사

'얼마나 닦아야 거울 마음 닮을까'

 

1.얼마나 울어야 마음이 희어지고    

얼마나 울어야 가슴이 열릴까    

 얼마나 사무쳐야 하늘이 열리고  

   얼마나 미워해야 사랑이 싹이 트나

 

2.얼마나 속아야 행복하다 하고      

얼마나 버려야 자유스러울까     

얼마나 태워야 오만이 없어지고 

얼마나 썩어야 종자로 열릴까  

 

후렴)얼마나 속아야 행복하다 하고        

얼마나 버려야 자유스러울까      

얼마나 태워야 오만이 없어지고  

얼마나 썩어야 종자로 열릴까    

얼마나 닦아야 거울마음 닮을까  

얼마나 닦아야 거울마음 닮을까 

 

 

 

 

                                                      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가곡 작시부문 추천자료

                                                       대우스님 작시 조영근 작곡    가창 불교연합합창단

[불교청소년도서저작상운영위원회]제5회 불교아동문학작가상 및 제6회 신인문학상 작품 공모

2010년도 제5회 불교아동문학작가상 및

                                 제6회 신인문학상 작품 공모 

 

 한국불교청소년문화진흥회는 당회 창립목적 사업중에 하나인 청소년 포교를 위한 자료 발굴과 불교도서 집필에 매진할 유능하고 참신한 감각의 작가를 발굴 육성하기 위하여 '불교아동문학 작가상' 제도를 두고, 그동안 제1회 김영만, 제2회 김명희선생과 제3회 박방희, 정명숙, 제4회 백두현 시인을 수상자로 선정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불교아동문학신인상'으로 제1회 방자경(방송작가) 제2회 박정숙(수필가), 제3회 박영아 (교사), 제4회 염경희(시조시인),제5회 김미자(아동극), 강순옥(동화), 오해균(전래동화), 장지현(동요동시), 허현경(청소년소설)를 수상작가로 선정하였습니다

 이래와 같은 요령으로 우수한 작가 추천과 신인상 작품을 공모하니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아   래

1.응모자격:문단 등단 8년 이상의 현역 작가 또는 신인작가

                 (신인상은 중고교 재학하는 학생 응모 불가)

 

2.대상 작품:

                 가:작가상 부문

                       최근 2년이내에 발행된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단행본으로 하며 이중에 한 작품을 뽑거나 새로 쓴 불교

                       소재의 작품 2편(반드시 불교 소재의 작품이어야 함)

 

                       1.동요동시, 동시조부문

                       2.단편동화부문, 

                       3.아동극부문

 

                  나:신인문학상 부문

                     (심사대상-발표되지 않은 불교소재의 창작원고)

                       1. 동요 동시, 동시조

                   2. 단편동화(2개부문)

                          1)창작동화부문 2)우화 및 전래동화 창작부문

                       3. 청소년극부문(3개부문)

                      1)인형극부문 2)학교극부문  3)청소년극부문 

                       4.유아문학(구연동화) 

                     *기타 작가상의 경우 다른 문학상을 받은 작품도 해당 기간내에 발행한 도서이면 심사대상이 됨

 

3.원고의 길이: 동요동시 동시조 는 5편 내외 및 단편동화2편 아동극 및 청소년극은 단막극 1편

                            유아문학은 구연동화 3편 이상 유아극은 2편.(신인상 응모자도 같음)

4.추천 마감2010년 3월 15일까지  도착 분 

 

5.원고 보낼 곳:서울 송파구 풍납2동 402 쌍용아파트 103동 1306호

                         한국불교청소년문화진흥회 사무국

 

6.수상작가발표: 2010년  4월 15일 불교 메스컴및 당해 카페 공지란

 

7.수상자 시상:상패와 원고료를 지급하며 시상식 일자는 7월 첫주와 12월 첫주 연 2회  예정 

8. 제출원고:1] 원고는 컴퓨터 아래하 한글 12포인트로 작성하여 출력본 2부를 보내야 함.

                   2]원고의 첫장에는 주소와 본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약력를 기입해야 함

                   3]제출원고는 창작 작품이어야 함 단유아문학 분야는 경전설화를 윤색한 작품도 응모 가능함

                   4]신인상 원고도 위와 같은 기준을 적용하며 불교소재의 작품이어야 함.

                   5]원고 입상작품의 저작권은 10년간 동위원회가 관리하며, 책으로 발간할 경우나 플래쉬에니메이션으로 제작할

                      경우 원고료는 별도 지급함

                   6]원고에 대한 상금은 회차에따라 증액할 수 있음

                   7]응모작품의 심사결과 신인문학상의 경우 부문별 여러편을 수상작으로 선정 할 수도 있음

                   8]불교아동문학작가상 상금이 500만원으로 조정될 시에는 수상 후보를 불교아동문학상 수상작가중에서 선정 할 예정임.

                  

 

                                                                         2010년 1월 7일 

                                                             한국불교청소년문화진흥회             

                                                                                                사무총장 백운 곽영석

 

                                        제1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가요 가창부문 수상작품

                                        [바람부는 산사] 수상자 정목스님 가창

[시론-백운곽영석]독도의 영토주권(領土主權) 확실히 해야

*시론

 

          독도의 영토주권(領土主權) 확실히 해야

 

                                                                                                              백 운   곽  영  석

                                                                                                         kbm0747@hanmail.net

 

  일본이 방위백서(防衛白書)에 5년째 독도를 일본 영토(領土)임을 주장하는 자료(資料)를 실었다. 우리는 이러한 독도 영유권(領有權) 주장이 역사적 사실을 근거(根據)로 한 주장이 아니라 정부와 민간의 협력에 의해 치밀하고도 끈질기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경계(警戒)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독도문제에 있어 총력전(總力戰)으로 대응하고 있다기보다는 단편적이고 즉흥적(卽興的)을 대응(對應)하고 있는 분위기여서 국민들은 더욱 답답하게 만들고 있다. 지난 8월 일본정부의 영유권 주장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연구를 전담할 독도연구소가 문을 열었지만, 정부 차원의 독도 전략을 마련하기에는 아직도 요원한 상태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영토보전(領土保全)은 헌법(憲法)이 대통령에게 부여한 책무(責務)'라며 냉철한 의지로 대처(對處)하겠다고 밝혔지만, 대내외 홍보활동은 물론 국제적 여론 조성을 위한 특단(特段)의 대책도 마련하지 못한 채 '독도연구소 인력을 8명에서 3개팀 23명으로 늘린다는 계획만을 공표(公表)하였다. 특히, 독도 주민 김성도씨가 주민등록(住民登錄)을 옮기고 독도를 유인도(有人島)로 국제사회에 인정받기위한 조처(措處)로 독도에 살면서 주변에서 채취(採取)한 해산물(海産物)에 대한 판매(販賣)허가를 내고자 했으나 문화재청(文化財廳)이 '독도 자체가 천연기념물(天然記念物) 336호로 지정되어 있다는 점을 내세워 불허(不許)했다'는 소식은 국민적 성원을 깨트리는 조치라는 판단이다.

  현재 문화재청(文化財廳)은 독도의 지위에 대한 국제적 판단이 어떤가를 생각하고 있는지 알고 싶다. 전 세계 198개국 정부나 유명도서관(圖書館), 연구기관(硏究機關), 유엔의 각 기관에 일본은 이미 23년 전부터 독도를 자국령(自國領)으로 표시한 지도(地圖)를 제작해 무료(無料)로 배포하고 있고, 최근 들어서는 우리 정부의 항의(抗議)가 미온적인 것을 알고 방위백서(防衛白書)는 물론 지방자치(地方自治) 단체를 동원해 잃어버린 영토 찾기 운동을 벌이는 행사를 갖게 하고 있는 상황이다.

  문화재청은 관료적(官僚的) 행정법을 제기하지 말고, 국제적으로 유인도(有人島)로 인정받아 실효(實效)적 지배를 하고 있는 우리 영토임을 만천하(滿天下)에 홍보하는 일에 과감히 예외규정(例外規程)을 두는 국세청(國稅廳)도 허가한 주민 김성도씨의 상행위를 허가해야 할 것이다.

  문화재청의 이 같은 결정에 울릉군민들은 물론 경상북도(慶尙北道)와 독도 관광객(觀光客)들은 이달부터 독도 하루 입도 인원이 제한 없이 개방(開放)되고, 독도 개발을 위해 일부 지역을 천연기념물 보호구역(保護區域)에서 제외하려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 시점에서 문화재청이 독도의 상징적(象徵的) 상행위(商行爲)마저 금지토록 한 것은 국민적 비난(非難)을 면키는 어렵다 하겠다.

  독도의 역사를 살펴보면 일본에서 독도의 영유권 문제가 이슈화 돤 것은 1952년 1월 이승만 라인이 그어졌을 때이다. 당시 독도 주변에서 조업 중이던 일본 어선이 한국에 나포(拿捕)되었다는 유언비어(流言蜚語)가 일본 전역에 확산되면서 영유권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했었다. 이와 같은 주장은 다와라 요시후미 (일본 어린이와 교과서네트워크21 사무국장)이 지난 해 8월 국제(國際)학술대회(學術大會)에서 주장한 내용에도 확실하게 지적하고 있다. 그는 '한국에 대한 일본의 부정적(否定的) 인상론이 우익(右翼)사상과 교묘히 결합되면서 역사 교과서(歷史 敎科書)를 왜곡(歪曲)하게 하는 결정적 계기로 작용'하게 되었고, 1980년대 중반 들어서는 '한반도가 적대국의 지배에 들면 일본은 위태로워진다는 피해의식이 확산되며 한국역사 왜곡 기술이 표면화되었다'고 밝히고 있다는 점이다.

  사실 그동안 우리나라에 대한 왜곡된 역사의식(歷史意識)은 일본 자료만을 참고한 다른 국가의 역사 교과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것은 틀림없지만, 한국학 자료를 제작하고 배포하기를 게을리 한 우리의 책임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민주화(民主化) 이후 한국의 역대 정권은 초기에는 언제나 일본에 대한 미래지향(未來指向)적 협력을 외쳤다. 그러나 용두사미(龍頭蛇尾)가 되었다. 일본이 야스쿠니신사나 독도, 교과서 등 논쟁적(論爭的)인 이슈를 제공하고 우리가 과잉반응(過剩反應) 했기 때문이다.

  일본을 자극한다고 해서 우리가 일희일비(一喜一悲)할 필요는 없다. 독도는 우리가 실효지배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독도문제를 쟁점(爭點)화 하려는 일본 우익 세력에 냉정하게 대하는 지혜가 다시금 필요한 것이다. 이제 갈등의 조장보다는 협력의 습관화를 통한 호혜적 협력관계 구축이 양국의 이익에 합치된다는 사실을 인식시킬 때이다.

  아울러 정부는 새로 출범한 '독도연구소'를 독려(督勵)하여 자료를 발굴 정비하고, 독도 문제 전문 인력 네트워크의 구축과 인재양성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새찬불가심사자료]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동요작시부문 심사자료-사랑해요부처님외 3편(작시-우학스님]

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동요작시부문 심사자료

                                                  - 우학스님   작시 저녁별외 3편

 

  아래 불교동요가사는 대원불교대학 박효림불자외 15명, 전남광양 무등암 해윤 불자외 22명, 관음종 묘각사 이선화불자외 8명, 불광사 노선미불자외 13명, 범어사 이진주 불자외 9명, 불교교사대학 장미란 불자외 26명, 인천 보각선원 김성준불자외 11명등이 추천해온 불교어린이 포교자료입니다.

  이 가사와 곡은 제작이 되어 보급중에 있으며, 제3회대한민국 찬불가요대상 불교동요부문 작시와 작곡부문에 동시 추천된 자료입니다.

 이 자료에 대하여 음원은 심사기간동안 본부 카페에서 계속 제공할 예정이며, 지역별 모니터 요원과 음반 판매업소에 종사하는 대한불교찬불가제정위원회 회원과 임원들께서는 1차 배부한 설문지를 이용해   작성해 본부 전용메일로 4월 10일까지 개별 의견을 송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일반 불자의 의견도 함께 받으므로 공개 심사에 참여할 분들은 대한불교찬불가제정위원회에 접속하여 음원을 확인하고 의견을 보내주셔도 됩니다. 전용메일.kbm0747@hanmail.net

 

                                    불기2554(2010)년 2월 23일

 

                      한국불교청소년문화진흥회     이사장    초  연

                      산하,대한불교찬불가제정위원 총재운문/위원장 유정

                                                                      사무총장 백운 곽영석

  

 

                             우학작시                                                   

                                                       곡명:저녁별

                                               밤하늘 동네에는 반짝반짝 눈을 가진

                                      예쁘고 착한 별들 많이들 살고 있어요

                                      우리 또래 애기스님들 손에 손을 잡고서

                                      소근소근 다정스레 웃으며 얘기나누죠

 

                                     곡명: 나무나라

                                          

                                      봄에는 새순 돋고  여름엔 초록잎 가득

                                      가을엔 고운 단풍  겨울엔 눈꽃송이

                                      언제나 아름다워요

                                      부처님 주신 세상 ~ 부처님 주신 세상 ~

 

                                               곡명:실잠자리

 

                                               살랑살랑 나풀나풀 실잠자리야

                                      앞서거니 뒷서거니 쫓아 다니죠

                                      쭉쭉빵빵 가느린 몸매자랑하며는

                                      동자스님 팔장끼고 웃음지어요

                                     

                                      곡명:사랑해요 부처님

                                     

                                       걸을 수 있도록 발을 주시고

                                       글쓰고 만질 수 있도록

                                       손을 주셨네

 

                                       들을 수 있도록 귀를 주시고

                                       아름다운 것 볼 수 있게

                                       눈을 주셨네

                                       부처님이 언제나 아껴주시니

                                       정말 기분 좋아요

 

 

                                            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동요작시부문 추천자료

                                            우학스님 작시, 이윤정 작곡 김진영어린이 가창

                                             곡명: 불교동요 '사랑해요 부처님'

[동화작가/안선모]대보름을 맞아 만든 사찰식 보름나물-간 좀 보세요

대보름을 앞두고 미리 만들어본 사찰식 보름나물입니다.

사찰음식에는 아시는 바와 같이 오신채가 들어가지 않고, 그 재료 자체의 맛을 내기에 힘씁니다.

제가 만든 열 세가지의 보름나물에는

집간장과 들기름으로 밑간을 하고, 볶을 때 약간의 식용유,

그리고 마지막 간을 하기 위해 집간장 조금과 참깨, 참기름만 들어갔습니다.

우리 나라의 명절, 정월대보름

그 아름다운 풍습이 사라지지 않기를 기원하며....

 

 

 

                                          재료입니다

                                                가지나물              다래순    호박오가리                                                

                                                  취나물              시금치      도라지          시래기

                                                  고구마순                  고사리           토란대

                                                   아주까리(피마자잎)    미역취       부지깽이  

[함께배우는 찬불가-대구불교방송]프로명:아름다운 만남 효민입니다(매주 월요일 4시15분부터 40분까지)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수상곡등 편성 방송 예정

                            -수상자중에 음원과 악보를 보내지 않은 분은 대구불교방송 아나운서실 박수경아나운서에게

                             음반자료를 (음원:AR,악보 1부)송부해주기 바랍니다

                             주소:대구광역시,중구 대봉동 156-1 대구불교방송

                                    박수경아나운서(010-7299-2323)

 

                                         불기2554년  2월 22일

 

                           한국불교청소년문화진흥회 이사장 초연 박용열

                                                                         사무총장 백운 곽영석

                       대한불교찬불가제정위원회 총재운문/위원장 유정

 

 

-대구불교방송 홈페이지 들어가시면 다시들어보기 할 수 있습니다!

 

 방송중 문자 참여 번호는 #9450 입니다!

 

 <링크/홈페이지 메뉴란에 아름다운 만남 효민 링크되어 있습니다>

 

 성불하십시요!

 

 

                                      제1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가요작곡부문 수상작품

불교가요:우리도 부처님 같이 
맹석분작시,이달철작곡, 성우스님작곡
[새찬불가신사자료]제3회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가요 작시 및 가창부문 심사자료[대우작시, 조영근작곡-얼마나 닦]

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가요 작시  및 가창부문 추천 작품

               -대우스님 작시 조영근 작곡 [얼마나 닦아야 거울마음 닮을까]

 

제2회 시상식(2009.12.5)에서 종합 심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는 유한준 심사위원장 

 

    아래 곡은 동원정사 지하스님을 비롯해 봉은사 법등회 박정애 불자와 서울 양천구 목동 법안정사  이선재 불자,법시사 주간이었던 이지형법사, 대구 동화사 노상인 불자194명의 추천으로 접수된 불교가요부문 작사및 가창 부문 심사자료입니다. 이에 대한불교 찬불가제정위원회 임원 및 불교음반 판매업소에 근무하는 협력회원과 한국방송감청관리소 종교방송 모니터요원들의 의견은 4월 10일까지 당회 전용메일(kbm0747@hanmail.net)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1/4분기 수상곡 발표는 4월 25일입니다.

 

불기2554년 1월 10일

 

 한국불교청소년문화진흥회   이사장     초연 박용열

    대한불교찬불가제정위원회 총재 운문/위원장 유 정

                                          사무총장 백운 곽 영 석

 

 

노랫말 가사

'얼마나 닦아야 거울 마음 닮을까'

 

1.얼마나 울어야 마음이 희어지고    

얼마나 울어야 가슴이 열릴까    

 얼마나 사무쳐야 하늘이 열리고  

   얼마나 미워해야 사랑이 싹이 트나

 

2.얼마나 속아야 행복하다 하고      

얼마나 버려야 자유스러울까     

얼마나 태워야 오만이 없어지고 

얼마나 썩어야 종자로 열릴까  

 

후렴)얼마나 속아야 행복하다 하고        

얼마나 버려야 자유스러울까      

얼마나 태워야 오만이 없어지고  

얼마나 썩어야 종자로 열릴까    

얼마나 닦아야 거울마음 닮을까  

얼마나 닦아야 거울마음 닮을까 

 

 

 

 

                                                      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가요 작시부문 추천자료

                                                       대우스님 작시 조영근 작곡    가창 불교연합합창단

[대한불교찬불가제정위원회]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동요 작곡부문 추천심사자료:곡명 하늘법당(이윤정작곡]

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동요 작곡부문 추천심사자료

우학스님작시, 이윤정 작곡, 김진영가창

곡명: 하늘법당

 

노랫말 가사

유치원 꼭대기에 하늘법당 있어요.

고깃떼 헤엄치고 새들 노래해요.   

      온갖 꽃들 웃음지고 곡식들은 익어가요

황금부처님 우릴 기다려요   

        

제3회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불교동요 작곡부문

우학작시, 이윤정작곡, 김진영 가창

곡명: 하늘  법당 

            

                                                             
                                                   우학스님 / 한국불교대학 大관음사 무일선원 회주

 

 

위 곡은  종립학교 은석초등학교 연화회 이법등학생을 비롯하여 불교관음불자회 연화심보살외 113명, 대한불교어린이합창단 김선재군등 21명, 대구 혜원정사 이선화 불자, 삼보합창단 박수진 불자외 58명,  부산 해동정사 이보람 불자외 32명, 대구 동화사 어린이회  장지성 군외 27명 등, 모두 251명의 추천으로 접수된 불교동요곡입니다. 이 곡에 대하여 공개 심사는 4월 10일까지 당회 이메일(kbm0747@hanmail.net)로 의견을 보내주시기 바라며, 한국방송감청관리소 종교방송모니터 요원들의 의견은 본부 전용 이메일 계정으로 의견을 접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상곡의 발표는 4월 25일 입니다.   각 사찰과 불교교구점등 음반 판매업소에 근무하고 있는 회원들은 첨부 설문지를 참고하여 객관적 의견을 작성해 보내주시기 바라며 음원의 청취가 불가능한 회원은 본부 카페 자료를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불기2554(2010)년 2월 21일

 

한국불교청소년문화진흥회 이사장 초연 박용열

대한불교찬불가제정위원회 총재 운문/ 위원장 유  정

                                       사무총장 백운 곽영석  

 

 

 

작곡가 이윤정 선생 연락처 

전화010-3163-2759

이메일 주소 : buddha0000 @hanmail.net 

 

[창작교육-동화]단편동화쓰기 초급강좌개설-3월15일 서울문학의 집에서 개강[강사:임정진교수]

실질적인 단편 동화쓰기 훈련으로 진행되는 초급 강좌입니다.

<합평 위주 중급 강좌 (10주코스 40만원)는 따로 문의 해주세요, 5명 이상 신청시 개강합니다. >

기간: 3월 15일- 6월 21일 (11주차 강의, 월 3회)
        (3월 15,22,29 / 4월  12.19.26/ 5월10.17.24/ 6월 7.21)
수업시간: 월요일 오전 10-12시
수업장소: 서울 문학의 집 도서관(명동역, 충무로역에서 도보 10분, 남산 교통방송 부근, 주차장 있음.)
수업료: 37만원
교재: 동화쓰기 특강 (임정진/ 지식의 날개 출판사)
강사: 임정진(동화작가, 서울디지털대 문창과 초빙교수)


수업계획:
1주차    간단 문장으로 이야기 만들기,  아이디어 찾기
2주차    옛이야기 다시 쓰기  
3주차    상상력 기초훈련, 소재 찾기  
4주차    어린이의 심리와 생활  
5주차    의인화의 방법
6주차    성격과 대사  
7주차    은유와 상징  
8주차    현실과 환타지
9주차    기획, 취재와 구성  
10주차   줄거리 쓰기  
11주차   단편 원고 발표과 합평

인원은 장소와 합평편의상 10명 이내로 제한합니다.
매주 과제가 있습니다.
문의사항은 storyteller88@hanmail.net
수강료 납부는 3월 10일까지 국민은행 068-24-0035-863 임정진
(강의 시작 후에는 중도 취소환불 안 됩니다. 개강 전 취소환불은 가능합니다. )
6명 이하 신청시 폐강되고 수강료는 자동 환불됩니다.
이메일로 본인의 간단한 소개와 연락처를 알려주시고 수강료를 입금하시면 됩니다.

* 푸른잉크 동화교실에서 공부했던 작가들-

신여랑(사계절 문학상- 몽구스 크루)
이영서(문학동네 문학상- 책과 노니는 집)
정승희(새벗 문학상-기다려 엄마)
표지율(대교아동문학상 그림책 부문- 내 친구 조이)
최은영(우리교육 어린이책 작가상 - 살아난다면 살아난다)

김하은(한국 안데르센 문학상)
화가 강경수(그림책 다리미야 세상을 주름잡아라,  일러스트 담

 

제1회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작곡부문 수상작품
오해균작시 작곡 위금자 가창
닮아보세요.wma (2999kb)     다운로드

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찬불가 작곡부문 심사자료:곡명-염주 변규백작곡 정다운작시 변해림가창

제3회 대한민국찬불가요대상 찬불가 작곡부문 상반기 심사자료

                                                        -정다운 작시 변규백작곡 변해림 가창 [염주]

     

 

                                                                    노랫말 가사 [염   주]

     한세월 굴린 염주 내 목에 걸려있다       
    손때 묻어 검붉고 한에 서려 씻기우고   
    향사룬 무릎 위에서 관세음을 세던 염주

    설한풍 풍지소리로 떨려오던 사바 연에 
      두 무릎이 시리어도 꼬박 지새인 밤은     
     앙상한 열손가락에 피맺힘이 몇 번이던고
      나 이제 한 마음 얻어 미처 모를 눈물 난다

    애태던 번뇌도 불러 한자리에 둘러 앉히고
    모두는 손길을 밟고 여울지는 먹물장삼

   위 찬불가는 영화사 성미란 불자외 21명, 부산 범어사 윤법화심 보살외 31명, 동학사 혜심 , 청주용화사 정화순, 인천 보각선원 이영주, 속초 신흥사 박만규 불자, 서울 봉은사 법등회 서진희, 녹야원 이진숙 불자등 252명이 추천해 온 곡입니다. 이 곡에 대한 각 종단 포교담당자와 어린이지도교사, 대한불교찬불가제정위원회 임원 및 회원, 음판판매업소 회원 과 한국방송감청관리소 종교방송 모니터 요원들의 의견은 3월 25일까지 당회 전용 kbm0747@hanmailnet 메일로 송부해주시기 바랍니다.

  음원 청취가 불가능한 회원은 본부 카페 찬불가위원회-새찬불가심사자료 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불기2554(2009)년 1월  23일

 

                               한국불교청소년문화진흥회   이사장 초연 박용열

                               산하, 대한불교찬불가제정위원회 총재 운문/위원장 유 정

                                                          사무총장 백운 곽영석

 

 

                                                              정다운 작시 변규백작곡 변해림 가창 [염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