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매산 김해진이사]팔공산 대비암 주변 풍경





















[가고싶은산사-매산 김해진이사 촬영]여주 봉미산 신륵사 주변 풍경

     





















[사진-행원 전제만이사]불국사 근처 왕벚꽃 개화 풍경

                   




불국사앞 왕벚꽃이 핀 풍경이 연초록 신록과 더불어 수채화 풍경처럼 아름답습니다.



















[가고싶은산사-매산 김해진이사]파주 보광사 주변 풍경































[가고싶은산사-전제만이사]마이산 은수사 주변 풍경

영락없는 말그대로 진경 산수화 풍경을 나타내는 마이산 은수사 풍경입니다.

마이산을 배경으로 자리한 은수사 풍경 마치 그림을 보는 듯

멋진 산수화를 보는 듯한 착각에 빨려들게 만드는 멋진 풍경입니다.

거대한 바위 봉우리가 있고

그아래 자리한 아담한 사찰이 있고

암벽엔 진달래가 피어나고

신록이 움트기 시작하는 은수사

움트기 시작하는 버드나무 가지 사이로 보이는 풍경

말 그대로 한폭의 그림같은 풍경입니다.


은수사는 누가 언제 창건되었는지 분명하지 않다. 사찰과 관련되어 전해지는 이야기는 대부분 태조)과 같이 맑고 깨끗하다고 하여 유래된 이름으로 전해지지만 이것도 분명하지 않다. 은수사는 마이산 탑사를 지나 약 300m 정도 산길을 더 올라야 하는데 마이산 봉우리 암벽 바로 아래 위치하는 사찰이다. 마이산 탑사와 함께 마이산에서 유명한 사찰이다. 은수사의 마당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줄사철나무와 청실배나무가 있는데 청실배나무는 태조 이성계가 심은 나무라는 설이 전해지며 겨울에는 역()고드름 현상으로 유명하다.






































[가고싶은산사-출사 행원 전제만이사] 부산 기장군 불광산 척판암 주변 풍경

부산시 기장군 장안읍에 있는 불광산 척판암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하는 작은 암자의 풍경이

봄이 오는 길목에서 봄꽃으로 인해 화사하게 더욱 아름다운 풍경입니다.


척판암()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불광산에 자리한 조계종 제14교구 본사 범어사의 말사이다. 673년(신라 문무왕 13년) 원효대사 창건하여 담운사()라고 했다. 이 암자에서 전래되는 설화를 보면, 원효대사가 담운사에 머무를 당시에 당나라 태화사()에서 공부하던 천 명의 승려가 장마로 인한 산사태로 태화사와 함께 매몰될 운명에 놓인 것을 알고, ‘효척판이구중(; 신라 원효대사가 판자를 던져서 사람들을 구한다)’이라고 쓴 큰 판자를 하늘로 날려 보내 태화사의 상공에 뜨게 했는데, 이것을 보고 놀란 대중이 일제히 법당에서 나와 쳐다보는 순간 뒷산이 무너져 절이 매몰되었다. 이에 천 명의 승려들이 우리나라로 원효대사를 찾아와 가르침을 받고 모두 도를 깨쳤다고 한다. 보운자()가 쓴「척반대사적기 」에도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척판’에 관련된 설화는 북한 묘향의 척판대와 경북 경주시 서쪽 월생산(단석산)의 척판암() 전설 등 여러 곳에 전한다.
이 암자에서는 이때의 이적을 기리기 위해 이름을 척판암으로 고쳐 부르게 되었다. 그 뒤에 이 절은 원효대사의 이적지로 중요시되어 참선을 하는 많은 수행 승려들이 머물렀다. 그러나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는다. 1938년 경허()가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근래까지 장안사()의 부속 암자였으나, 지금은 독립된 절이다. 암자 내에는 법당(척판암)과 요사채가 있고, 그 앞에 삼층석탑이 있다. 법당 좌측 편 방 안에 원효대사 진영이 모셔져 있으며, 그 건물 벽에 ‘척판’과 관련된 벽화가 있다. 이곳은 차가 갈 수 있는 길에서 300m 정도 등산해야 한다.

* 673년(신라 문무왕 13년) 원효대사 창건, 척판구중 설화.







































불광산




가고싶은산사-매산 김해진이사]희문산 만일사 주변 풍경


























[가고싶은산사-출사 운주 이재구이사]경남 진주 집현면 집현산(集賢山) 응석사(凝石寺)

경남 진주 집현면 집현산(集賢山) 응석사(凝石寺)




↑ 대웅전-경남 유형 문화재 제141호-


↑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보물1687호-













한불회메일보려가기

 

http://blog.daum.net/_blog/ArticleCateList.do?blogid=0R8lT&CATEGORYID=32&dispkind=B2201

 

연꽃 여러가지

 

 

 

 

 

 

 

 

 

 

 

 

 

 

 

 

 

 

 

 

 

[사진-매산 김해진이사]창원 불모산 성흥사 주변 풍경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