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의 농산정을 찾아서 | 문화유산답사 http://blog.daum.net/6042cjm/15690351

해인사의 농산정을 찾아서

 

농산정은 신라 말기의 거유 고운 최치원 선생이 은둔하여 수도하시던 곳

이라고 합니다    원 정자의 창건시기는 알 수 없으나 지금의 정자는

후손과 유림에 의하여 중건된 것으로 1990년에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하였다고 합니다 정자 건너편에는 치원대 또는 제시석

이라고 하는 석벽이 있는데 고운 최치원 선생의 칠언절구

둔세시가 새겨져 있습니다   정자의 이름도 그 시의 

한 귀절을 따서 농산정 이라고 합니다   

 

 

 

고운선생은 서기 857년인 문성왕 19년에 사량부에서 탄생하셨고

성은 최요 이름은 치원, 자는 고운, 호는 해운이라고 합니다 

 

 

고운선생이 탄생하실 때만 해도 신라에는 문자가 없었고

글이 없으니 기록도 할 수 없는 시대였다고 합니다

 

고운선생은 당나라에 유학하여 당나라의 과거시험에 합격하고

우리나라의 최초 문집인 계원필경집을 남겼는데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보다도 수백년이 앞선

기록문자가 된다고 합니다 

 

 

농산정 앞에 세워져 있는 고운최선생둔세지

(孤雲崔先生遯世地)라는 표지석이

개울가에 세워져 있습니다

 

 

고운 선생은 중국에서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토황소격문 이라는

글을 써서 황소에게 보낸 격문이 있습니다 

 

 

천하의 모든 사람이 너를 죽이려고 생각할 뿐 아니라 땅 속의

귀신 까지도 이미 너를 죽이려고 의논하였을 것이다 라는

귀절에서 포악무지했던 황소도 놀라 혼비 백산하여

의자에 앉았다가 바닥으로 떨어졌다고 합니다 

 

 

최치원의 제시석에 대해 김종직은 제시석을 두고 부서진 돌

사이에 먹물흔적 남았네 라고 한 것으로 보아

이 제시석에서 필묵흔적을 느낄 수 있었던

것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한강 정구라는 묵객은 가야산을 유람한 뒤에

유가야산록 이라는 책에서

 

 

폭포 곁 돌 표면에 최고운 시 한수를 새긴 것이 있는데

 

 

매년 장마의 미친듯한 물살에 씻겨 마멸되어

지금은 다시 알아 볼 수 없다

 

 

한 참 손으로 비벼서 만져본 후에 어슴푸레 겨우

한 두 글자를 얻었다 라고 적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제시석은 길에서 조금 높은 곳에 있고

또 그 필 획이 매우 뚜렸하여 김 종직과 한강이

말 하던 제시석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제시석의 좌측 하단에 우암서(尤菴書)라는 글자를 보면

우암 송시열의 글씨는 아닌 것 같다고 하여

 

 

후대에 이 제시석의 글씨가 우암의 것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나중에 새겨 넣은 것으로 말하고 있는 학설도 있습니다 

 

 

 

동강(東江) 김영한의 급우제집(及禹齊集)에는

가야산 해인사 라는 시의 주에 ......

  

 

암벽에 우암이 쓴 최고운의 절구가 있다 고 하여

이를 우암의 글씨로 단언하고 있습니다  

 

    

농산정은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172호로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 입구에 있습니다 

회장님! 좋은 답사에 감사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홍류동가야서당/구귀자따는여인

*[한메일view가기검색] [프로필학사당행사가기검색][네이버학사당행사가기검색]*  

[道泉 최평열2009. 11. 24.]

 

 

 

 

 

야천리 식당서/네멘데스알라타. 고구마 

*[한메일view가기검색] [프로필학사당행사가기검색][네이버학사당행사가기검색]*  

[道泉 최평열]  

 

 

 

 

 

 

 

 

 

합천군 가야면/홍류동 가을 

*[한메일view가기검색] [프로필학사당행사가기검색][네이버학사당행사가기검색]*  

[道泉 최평열] 

 

 

 

 

 

 

 

 

 

 

 

 

구원리 마을 과 가야산 풍경

[도천 최평열]

*[한메일view가기검색] [프로필학사당행사가기검색][네이버학사당행사가기검색]*  

가야산 과 구원리(터서리) 마을 풍경입니다 

 

 

 

구원리에서 남쪽으로 바라본 산 풍경입니다. 

 

 

  

 

구원리(터서리) 마을 앞 길가에 핀 가을 장미 꽃 

해인사 홍류동에서 친구와 도천이

*[한메일view가기검색] [프로필학사당행사가기검색][네이버학사당행사가기검색]*  

[도천 최평열] 

 

 

 

 

 

 

 

나대자연농원에서 

 

도천 최평열 : 홍유동 고운 최치원 선생 농산정 학사당 가야서당 블로그 방

입니다. 

 

찾아 주심에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가실적에 한 말씀 댓글 주시고 가신 뒤모습이 그립습니다

   *[한메일view가기검색] [프로필학사당행사가기검색][네이버학사당행사가기검색]*  

 

도천 최평열

올림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자세히보기

 

 홍유동 가는 길목 벗꽃 *

= 도천 고향이고요 ! 홍유동 학사당. 농산정. 가야서당 이 있는 곳입니다 =

 

 합천군 가야면 소재 북쪽에서 ~ 홍유동까지의 벗꽃 거리

*[한메일view가기검색] [프로필학사당행사가기검색][네이버학사당행사가기검색]*  

 

 

 

 

 

 

 

 

 

 

 

 

해인사 절가는 첫째 문

 홍유동 : 학사당 건물

 

 

 문창후 최선생 유허비

 문창후 신도비

 가야서당 건물

 도천 최평열 가야서당 앞에서

 농산정 건물 가는 주변

 

 

 

 

 

 

 
본인이 목숨걸고 지킨 홍유동 학사당, 농산정, 가야서당 건물 들입니다 선대들께서 깊은 듯을 가지시고 1927. 1936. 1951년경 순차 건축하신 것인데 갑자기 사이비단체가 나타나 자기들 소유라면서 소송이 일어나 지키기 위해 15년이상 방어 소송을 해온 것으로 사이비단체로 밝혀지고 모두 본인이 승소하였습니다 이모두가 타성 유림과 하늘에서 지켜보신 조상님의 득이 아니라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도와 주신 여러분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회원님 들의 격례를 감사드립니다. 더 알고 싶은 분께서는 본인의 불로그 (한글로 도천 최평열 검색) 찾아가 알리는 말씀 이하 관련문서를 보시면 아...그랬구나 하실 겁니다. 감사 합니다. new 09.04.07 21:45

도천 최평열 : 고운 최선생 농산정 학사당 가야서당 블로그 방

 

 

찾아 주심을 감사 드립니다..

카테고리전체보기 참조

 

孤雲 崔致遠先生 略史


 先生은 서기 857년 新羅 憲安王 元年에 新羅 首都 沙梁部에서 태어나셨다.

 諱는 致遠, 자는 孤雲, 호는 海雲 또는 海夫라 하셨고, 시호는(고려 현종 14년) 文昌侯이시다.

 12세의 어린나이로 唐나라에 留學 떠날 때 十年不第非吾子라 하신 嚴親의 말씀 받들고 入唐修學하시어 弱冠 18세 되든 해 唐나라 僖宗, 乾符 元年(874)에 과거에 급제하시어 江南道 宣州 漂水縣尉라는 지방관으로 官界에 첫발을 디디셨다.

 바쁜 公務에도 硏究와 저작에 힘을 기울여 先生의 명작이신 中山覆簣集을 完成하신 것도 이 때의 일이다.

 날로 달라지는 先生의 文才는 세인을 놀라게 했을 뿐 아니라 관리로서 能力도 비범하시어 얼마가지 않아 承務郞 侍御史 內供奉에 오르셨고 뒤이어 궁궐에 何時라도 出入할 수 있는 紫金魚袋를 皇帝로부터 下賜받기에 이르렀다. 그해 山東에서 黃巢가 난을 일으켜 唐나라 全國土를 휩쓸게 되자 先生은 官軍의 總指揮官인 兵馬都統 高騈의 從事官으로 토벌에 나아가 黃巢 檄文을써서 叛賊黃巢가 놀라 의자에서 떨어 졌다하는 名文은 唐 天下에 文名을 떨쳤으며 이 때에 이룬 공적은 모든 사람들로부터 아낌없는 찬사를 받으셨다. 

 先生은 서기 884년 고국을 떠나신지 16년만인 28세 때 귀국하시게 되자 憲康王은 侍讀兼翰林學士 守兵部侍郞 知瑞書監이란 요직에 임명하시였다.   귀국한 이듬해 憲康王이 돌아가시고 定康王이 즉위했으나 한 해만에 그도 세상을 떠나고 眞聖女王이 王位에 올랐다.

 이 틈에 新羅 國運은 쇠미해 가고 조정은 群小輩의 난무로 어지럽게 되자 先生은 西學에서 얻은 포부와 이상을 실현하기 어렵다는 것을 생각하시고外職(地方官)을 自請하시어 泰山郡, 天嶺郡, 富城郡의 太守로 계셨다.

 그 후 서기 893년 眞聖女王 7년 遣唐使에 任命되었으나 凶年이 들어 도적이 횡행하여 길을 떠나지 못하셨다. 先生은 그 이듬해인 眞聖女王 8년 2월에 時務十餘條의 國策論을 상소하게 되자 王은 이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阿湌(新羅 17等級의 6位)이란 官職을 내리셨다. 그러나 先生은 계속되는 亂世에 절망하시어 朝路에서 물러나신 후 慶州 金鰲山, 剛州 氷山, 합주 淸凉寺, 智異山 雙溪寺, 金浦의 月影臺, 東萊 海雲臺等地로 두루 다니시며 國運을 한탄 하시다가 마지막에는 伽倻山 海印寺에 들어가시어 世上에 나오시지 않은 채 끝내 仙化 하셨다고 한다.

 新唐書 藝文志에는 崔(致遠)선생의 四六集 1권과 桂苑筆耕 20권과 經學隊仗 등이 있고 그 外에 鳳巖寺 碑文 崇福寺 碑文도 先生이 찬한 글이며 釋順應傳도 유명하다고 한다. 또한 先生께서는 當時 이름난 禪僧인 鳳嚴寺 智澄大師, 雙磎寺의 眞鑑禪師, 聖主寺의 郞慧和尙의 塔碑銘과 初月山 大崇福寺 碑銘을 創述 하셨다. 이 네 개의 碑銘을 四山碑銘이라 하는데 이 業績을 두고서 儒彿仙에 겸통한 知識과 思想을 발휘한 大思想家, 大文章家로 높이 評價 받으셨다. 

                                                         社團法人 慶州崔氏大宗會 事務局 提供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자세히보기

 

 

낙동강 횟집 성보경가족 나대자연농원 홍류동 방문 해인사 학사대(날짜고장8/15/09)

 *[한메일view가기검색] [프로필학사당행사가기검색][네이버학사당행사가기검색]*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