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저서-이성자 동시집발간]손가락 체온계 소개

[이성자] 손가락 체온계

 

 

광주에서 동화와 동시를 열심히 쓰고 있는

이성자 선생님이 새 동시집을 펴냈습니다.

 발간을 축하드립니다!

 

<뜨개질 기도>

 

할머니는 오늘도

털모자를 뜨고 계신다

 

- 어깨 아프다면서도

   또 뜨개질하세요?

- 기도하는 거여

만날 물어봐도 같은 대답

 

날씨가 쌀쌀해지자

그동안 끄개질하여 모아 둔 털모자

곱게 포장하더니

복지관으로 향한다

 

올 겨울에도

머리가 차가운 어린이들이

따뜻해지기를 기도하며

 

* 말로 열 번 기도하는 것보다

  한 번 몸으로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 훨씬 낫겠지요.

 이 시를 읽고

 남을 어떻게 도와주어야 하는지 배웁니다.

 

 

<가뭄>

 

용용, 나 뽑아 봐라

우리 할머니 약올리듯

기세등등하던 잡초들

오랜 가뭄에

기가 팍 죽었다

 

당장 뽑아 내려고 다가서는데

왠지 안돼 보였다

지지리도 밉던 마음까지

금세 사라져 버렸다

 

비님, 제발 흠뻑 내려 주세요!

 

 

* 얄미운 잡초도 생명입니다.

  내 가족 내 친구만 위해줄 게 아니라

  모르는 사람도 힘들 때는 도와주어야 합니다.

  잡초도 모조리 죽일 게 아니라 일부는 살려 놓아야 합니다.

 

 

이성자 선생님, 발간을 축하드립니다!

 

 

 

지은이 이성자 / 그린이 주세영

판형 국판(152*210) / 쪽수 112쪽

출간일 2013년 7월 31일 / 9,000원

ISBN 978-89-97335-17-6 (73810) / 대상 초등학교 전학년

 

■ 우리 마음의 체온까지 알맞게 높여 주는 따뜻한 동시집

 

동시와 동화를 창작하고, 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등 아동문학의 발전을 위해 힘을 쏟고 있는 이성자 시인의 동시집 『손가락 체온계』가 청개구리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동시집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1부인 ‘꽃이 들려주는 이야기’에서는 아이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야생꽃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내었다. 하나같이 낯선 꽃이지만, 동시를 찬찬히 읽어 보면 어느새 아름다운 이야기를 지닌 생명력 있는 꽃의 이미지가 머릿속에 떠오르게 된다. 더욱이 꽃 그림까지 곁들여서 작품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2~4부에서는 다른 이에 대한 관심과 배려, 자연과 교감하고 화합을 꾀하는 작품 등 우리들의 마음의 체온까지 높여 주는 따뜻한 동시 작품을 모았다. 특히 표제작인 「손가락 체온계」는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통해 자녀에 대한 부모님의 깊은 애정과 사랑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열이 오르고 머리가 아프다/엄마가 다가오더니,/손가락을 펴서/내 겨드랑이로 쓱 밀어 넣는다.//

–어머!/열이 38도는 되겠어!/깜짝 놀라는 엄마/

–에이,/엄마 손가락이 체온계야?//

맞나 틀리나, 내기하자며/엄마가 진짜 체온계를 가져온다./귀신같이 정말로 38도다.//

우리 형제 키우느라/손가락 체온계가 됐다면서/해열제를 내미는 엄마/먹기 싫어도 꾹 참고 물을 마셨다.

―「손가락 체온계」 전문

 

이 시의 화자인 남자 아이는 갑자기 열이 오르고 머리가 아프다. 그러자 엄마가 다가와 체온계가 아닌 손가락을 펴서 아이의 겨드랑이로 쓱 밀어 넣는다. 그러더니 열이 38도나 된다고 말한다. 아이의 입장에서는 황당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체온계가 아닌 손가락으로 어떻게 체온을 잴 수 있단 말인가. 하지만 엄마는 확신에 가득 찬 얼굴로 진짜 체온계를 가져와서 잰다. 그랬더니 정말로 엄마가 처음에 말한 38도로 나오는 게 아닌가. “우리 형제 키우느라 손가락 체온계가 됐다면서 해열제를 내미는 엄마”를 보면서 화자는 “먹기 싫어도 꾹 참고 물을 마”신다. 자신에 대한 엄마의 사랑에 큰 감동을 받은 화자의 모습이 머릿속에 그려진다. 이 시를 읽는 독자들 역시 자신이 아플 때 밤낮을 가리지 않고 곁에서 간호를 하던 엄마의 모습을 떠올리게 될 것이다.

 

비가 와요/가만히 비의 발자국 소리를/들어 봐요//

나뭇잎 위에/살지락살지락 내리는 비는/새침데기예요//

우산 위에/두두두두 내리는 비는/장난꾸러기예요//

안 봐도 다 알 수 있어요/웅덩이에 첨벙첨벙 내리는 비는/성질이 아주 급하다는 것까지도//

비가 와요/발자국 소리를 내며 와요.

―「가만히 들어 봐요」 전문

 

이 시의 화자는 비가 내리는 날에 우산을 들고 거리를 걷고 있다. 보통의 아이들에게 ‘비’는 옷을 젖게 하거나, 친구들과 뛰어놀지 못하게 하는 훼방꾼일 테지만, 시 속의 아이는 걸음을 멈추고 빗소리를 감상하고 있다. 아이는 나뭇잎 위에 내리는 비, 우산 위에 내리는 비, 웅덩이에 내리는 비를 성격과 개성이 다른 각각의 존재들로 느끼고 있다. 이 작품을 읽는 독자들 역시 빗소리가 귓가에 생생하게 들리는 것 같은 착각이 들 것이다. 가만히 비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있는 어린 화자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왜 나는 그동안 이렇게 다양한 비의 발자국 소리를 알아채지 못했지?’ 하는 자책마저 들게 된다. 아마도 이성자 시인은 이러한 후회와 안타까움을 독자로 하여금 깨닫게 하고자 작품을 창작했는지도 모른다. 그렇게 본다면 자연과의 교감할 수 있는 힘, 자연을 마주할 수 있는 여유를 잃어버린 현대인에게 작가가 선물한 단비 같은 작품인 게 분명하다. 따뜻한 여운이 독자들의 가슴속에 촉촉하게 남겨져 마음의 체온까지 높여줄 동시집이 되길 기원해 본다.

 

**작가의 말

아무 데서나 잘 자라는 들꽃들이 하도 예뻐서 허리를 구부리고 내려다봤어요. 들꽃들이 나와 눈을 맞추더니 가만가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거예요. 그런 날은 문득 우리 어린이도, 주변의 온갖 사물들도, 누군가에게 자신의 마음속 이야기를 털어놓고 싶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나는 주변의 이야기를 들어주기 시작했어요. 그동안 모아 두었던 이야기를 56편의 동시 속에 모두 담아 놓았답니다.

─이성자

 

 

**추천의 말

시는 우리들에게 아름다움을 주지. 아름다움에는 겉에 드러난 아름다움과 속에 감춰진 아름다움이 있어. 이성자 시인의 시는 겉모습이 주는 아름다움보다 속에 감춰진 아름다움을 더 많이 우리에게 보여 주고 있어. 우리 이웃들의 고달픈 삶을 뛰어난 상상력으로 아름답게 풀어 낸 꽃 이야기, 엄마의 사랑으로 대표되는 베풂과 나눔의 참된 사랑 이야기, 우리들의 상상력을 일깨우고 북돋우는 말의 재미에 관한 이야기, 은혜를 잊지 않고 자신을 던져 되갚으려는 희생과 헌신에 관한 이야기 등등,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밝고 따뜻한 체온이 모든 작품 속에 가득가득 담겨 있어. 한마디로 『손가락 체온계』는 우리들의 체온을 재는 체온계에 머무르지 않고, 그늘에서 어렵게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의 차가운 체온까지 알맞게 높여 주는 따뜻한 동시집이라고 할 수 있어.

─문삼석(동시인)

 

 

**작가 소개

글쓴이_이성자

전라남도 영광에서 태어났습니다. 광주대학교 문예창작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명지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아동문학평론 동시부문 신인상, 동아일보 신춘문예와 어린이문화 신인대상 문학부문에 당선되었으며 계몽아동문학상, 눈높이아동문학상, 한정동아동문학상, 광주문학상, 우리나라좋은동시문학상 등을 수상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너도 알 거야』 『키다리가 되었다가 난쟁이가 되었다가』 『입 안이 근질근질』 『내 친구 용환이 삼촌』 『형이라고 부를 자신 있니?』 『두레실 할아버지의 소원』 『쉿! 특급비밀이에요』 등이 있습니다. 현재 광주대 문예창작과와 광주교육대에서 아동문학을 강의하고 있습니다.

그린이_주세영

홍익대학교에서 디자인을 전공했습니다. 그린 책으로는 동시집 『웃는 기와』, 동화책 『말문이 빵터지는 세마디 영어』 시리즈, 『하마의 모자』 『째깍째깍 피자시계』 『Trip to love station』 『시장에 가요』 등이 있습니다.

[대한불교찬불가제정위원회]대한불교조계종 주관 2013년도 불교합창페스티벌 참가안내

대한불교조계종 주관 2013년도 불교합창페스티벌 참가안내

                      접수:2013년 8월1일-23일까지, 시연:2013년 11월10일

                공연장소:서울교육문화회관 대극장 주관:대한불교조계종총무원 문화부

                주관:불교합창페스티벌 운여위원회 , 한국불교음악인협회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원장 자승)은 2013년도 불교합창페스티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한다. 전국 980개 합창단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접수를 받아 본선대회 출전할 팀을 선정할 계획이다.

 

1.행사개요

일시:2013년 11월 10일 일요일 오후 3시에 본선

장소:서울교육문화회관 대극장

2.참가자격

(1)성인으로 구성된 사찰과 불교단체 합창단으로 20명-60명 이내의 단체

(2)합창단원은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활동한 신도로 구성하며 신도증 또는 재적사찰 주지확인서를 제출해야 함

(3)대회 참가곡은 총 2곡으로 지정곡 1곡은 문화부에서 개발한 2012년도 신작찬불가 합창곡집에서 선곡하고 나머지 1곡은 기존 찬불가중에서 자유롭게 선곡할 수 있음

3.참가신청

(1)접수기간: 2013년 8워1일-8월23일까지

(2)접수마감:8월23일 오후 6시

(3)접수방법: 방문 또는 우편으로 신청서 접수 -마감일 우편소인 유효

4.제출서류

(1)대한불교조계종홈페이지나 전국불교합창단연합회에서 신청서 다운로드해 사용할 것

(2)사진:대표자, 합창단 단체, 합창단장, 지휘자, 반주자 각 1매씩 첨부

(3)악보-찬불가, 자유곡 악보 각 1부

기타 참가비 없음

5.2013불교합창페스티벌 대회일정안내

(1)예선

  일시:- 9월1일부터 10월말까지

(2)장소:권역별로 시행예정

2)본선대회

일시-11월 10일 오후 3시

장소:서울교육뮨화회관 대극장 -지역예선을 통과한 10개단체

6.시상내역

대상 1팀 5백만원

최우수상 1팀 3백만원

우수상 2팀 1백만원

장려상 6팀 각 50만원

지휘자상 1명 1백만원

반주자상 1명 50만원

7. 접수및 문의

110-170 서울 종로구 견지동 45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문화부

                 02-2011-1779

8.기타사항

(1)1명의 지휘자가 최대 2개합창단을 지휘할 수 있음

(2)연주시간은 입퇴장을 포함하여 10분 이내이며 시간초과시 감점

(3)경연대회에서 중복곡이 많을 경우 주최측과 협의하여 조정할 수 있음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