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은 공자의 유도로 부터 석가의 불경이니 노자의 도덕경을 엄청나게 연구 한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는 그의 난낭비 鸞郞碑(환웅, 단군등을 예찬한 비석)序文 만 보아도 알수 있다.
특히 그는 노자의 무위자연(無爲自然)을 말하는 도덕경을 탐독하고 우리의 전래 사상인 신선도와 융합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그것은 그의 천부경 예찬문이 노자의 도덕경 81 장 처럼 81 자로 되어 있고 그 냉용도 결국은 그와 같다
고운 최치원 선생 (2) - 영정(影幀)
제 목 : 고운 최치원 선생 (3) - 필적(筆跡) 글 쓴 이 : 월계자
[영상 자료 출처: http://www.koreandb.net]
최치원
崔致遠 857(헌안왕 1) ~ ?
신라시대의 학자.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시조. 자 고운(孤雲)• 해운(海雲).
869년(경문왕 9) 13세로 당나라에 유학하고, 874년에 과거에 급제, 선주(宣州) 표수현위(漂水縣尉)가 된 후 승무랑(承務郞) 전중시어사내공봉(殿中侍御史內供奉)으로 도통순관(都統巡官)에 올라 비은어대(緋銀魚袋)를 하사받고, 이어 자금어대(紫金魚袋)도 받았다.
879년(헌강왕 5) 황소(黃巢)의 난 때는 고병(高騈)의 종사관(從事官)으로서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을 초하여 문장가로서 이름을 떨쳤다.
885년 귀국, 시독 겸 한림학사(侍讀兼翰林學士) 수병부시랑(守兵部侍郞) 서서감지사(瑞書監知事)가 되었으나, 894년 시무책(時務策) 10여 조(條)를 진성여왕에게 상소, 문란한 국정을 통탄하고 외직을 자청, 대산(大山) 등지의 태수(太守)를 지낸 후 아찬(阿찬)이 되었다.
그 후 관직을 내놓고 난세를 비관, 각지를 유랑하다가 가야산(伽倻山) 해인사(海印寺)에서 여생을 마쳤다.
글씨를 잘 썼으며 <난랑비서문(鸞郞碑序文)>은 신라시대 화랑도(花郞道)를 말해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고려 현종 때 내사령(內史令)에 추증되었으며, 문묘(文廟)에 배향, 문창후(文昌侯)에 추봉되었다. 조선시대에 태인(泰仁) 무성서원(武成書院), 경주(慶州)의 서악서원(西岳書院) 등에 종향(從享)되었다.
글씨에 <대숭복사비(大崇福寺碑)> <진감국사비(眞鑑國師碑)> <지증대사적조탑비(智證大師寂照塔碑)> <무염국사백월보광탑비(無染國師白月보光塔碑)> <사산비(四山碑)> 가 있고, 저서에 계원필경(桂苑筆耕) 중산복궤집(中山覆궤集) 석순응전(釋順應傳)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등이 있다.
참조: 《최치원설화연구》 한석수 저(계명문화사, 1991) 《최치원의 사상연구》 최영성 저(아세아문화사, 1990) 《최치원의 시 정신연구》 선낙희 저(관동출판사, 1986)
[출처: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제24권 610쪽]
(가을밤 비오는 중에)
崔致遠 (최치원)
秋風唯苦吟
가을 바람에 오르지 괴로움을 읊어 봐도
世路少知音
세상에는 내마음 아느니 적네
窓外三更雨
창밖에는 밤늦도록 비만 오는데
燈前萬里心
등불 앞에는 머나먼 마음뿐
해설
* 秋風唯苦吟
가을 바람에 오르지 괴로움을 읊어 봐도...
최치원은 그의 천부경 예찬시 81자중 一積十鉅無궤化三 만 보더라고 더할수 없는 성자다. 그런이가 여자가 그리워 괴로워 했을리도 없고 또 당시 임금님이나 나라때문에 걱정 할 시기도 아니다.
여기서 秋風이란 쓸쓸한 가을 바람 만을 말하는것이 아니다.
秋風落葉 에 쓰여지드시 시체말로 한물간것을 말한다.
그러니까 최치원은 당시 한물가서 거들떠 보는 사람조차 없는 우리 가림토 등과 하느님 교훈인 천부경을 우리말로 풀어 설명해 봐도 이는 秋風 과 같은 공허한 메아리 였다는 이야기 이다.
그렇다면 그가 천부경 예찬시 81자(속칭 천부경)를 쓰기전 ...또는 쓰고 나서 우리 말과 우리 글자 가림다를 다 없애고 오직 한자에 미처 도는 당시 선비들에게 아무리 신지녹도문자 하느님의 천부경이 바로 하나 둘 셋 ..열 들이라는 것을 설명해 줘봐야 아는 사람이 없어 괴로워 한 심정을 이 시로 표현 했다고 볼수 있다
* 世路少知音
세상에는 내마음 아느니 적네
그러니까 세상에는 자기 마음을 알아 주는이가 참으로 적다는 이야기 이다. 만약 여자를 그리워 했다면 世路 라는 말이 들어가지 않는다.
* 窓外三更雨
창밖에는 밤늦도록 비만 오는데
역시 당시 자기것을 멸시하고 오직 중국의 글자와 풍습만을 숭상하는 시대상황의 괴로운 마음을 한밤중 가을 비로 표현 하고 있다.
* 燈前萬里心
등불 앞에는 머나먼 마음뿐
최치원의 천부경 81자 ...그러니까 진짜 천부경 신지녹도전자 16자를 하나 둘 셋 ...열 인것을 알고 이것을 우리말이 아닌 한자로는 도저히 풀수없게 다시 시첩으로 (更復作帖)짛기전 ...또는 짖고 나서 만대 후의 알아줄이를 기다리며 지은 시로 본다.
여기서 최치원의 괴로움이 여자가 아닌 우리 문자가 없어져 천부경을 제대로 설명할수 없다는 증거가 바로 萬里心 이다. 萬里란 거리가 아니고 머나먼 후대를 말 하는 것이며 그렇다면 먼 후대에 누군가가 이 최치원의 81 자를 보고 신지녹도전자 천부경의 해독을 해독해 보고 자신이 고육지책으로 쓸 수 밖에 없던 81 자의 뜻을 알리라는 기대를 해 보는것이다.
* 이상으로 볼때 당시 세상에는 아무리 설명해야 알아줄 사람이 없고 먼 훗날의 알아줄 사람을 생각하며 비오는 가을 깊은밤에 등불앞에 앉아 괴로워 했다는 것은 무엇을 말하고 싶은것인가? 한자가 아닌 우리말로 풀어야 풀리는 천부경 예찬시 81자를 짛으며 괴로워 한것으로 본다.
*** 아세아 연방론 http://cafe.daum.net/asiavision 월게자 님이 찾아 보내주신 시를 저 나름대로 해석해 보았습니다.
'고운 최치원선생 관련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복규의 한국성씨를 찾아서?-경주최씨(慶州崔氏) (0) | 2011.11.04 |
---|---|
해인사 소리길 (0) | 2011.10.10 |
경주최씨 대동보 (0) | 2011.08.31 |
ㅁ동영상] 姓氏의 故鄕 - 慶州崔氏 (0) | 2011.08.26 |
10. 학사당에 고운 최치원 선생, 경주최씨대종회서도 2011년도 춘계향사 하 (0) | 2011.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