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자료-출사:운주]제10회 불교영상포교대상 후보작품-5, 작품명:오대산 상원사의 전각과 경내 풍경
★ 가을맞이하는 오대산 산사 -상원사(上院寺)- :촬영- 운주
오대산 자락에 위치한 사찰로서 724년(신라 성덕왕 23)
자장(慈藏)율사가 지었다고 하며, 6,25전란시 건물 소각 작전에 한암(漢巖)선사가 법당에 좌정하고 몸으로써  
 
막는 기개에 압도되고 이에 감복한 군인이 법당의 문짝만을 뜯어내
마당에서 불을 지르고 떠나 상원사 소실을 막은 의미 깊은 사찰이다.


↓ 01) 상원사 표지석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02) 관대(冠帶)걸이
세조대왕이 목욕을 할때 관대를 걸어두었던 곳이 지금의 관대걸이다고 한다.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03) 경내에서 바라본 문수전의 전경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04) 연등 넘어 전각이 보입니다.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05) 동종각(銅鐘閣)
- 편액은 탄허(呑虛)스님이 씀-

 

 

↓ 06) 상원사동종(上院寺銅鐘) - 국보 제36호 -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동종중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범종(梵鐘)으로서 음향이 맑고 깨끗하다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07) 경북 안동누문(安東樓門)에 걸려 있던 동종을 왕명에 의하여
상원사로 옮기던 중 죽령에 이르렀을 때 종이 길에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아
종의 유두 하나를 떼어서 본래 있던 안동으로 보냈더니 다시 운반 가능했다는 전설이 있다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08) 동종에는 구름 위에서 무릎을 세워 하늘을 날면서 공후(箜篌)와 생(笙)을
주악하는 병좌주악비천상(竝座奏樂飛天像)이 양주(陽鑄)되어 있다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09) 동종 옆 달마대사 목각상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10) 달마대사 얼굴 모습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11) 문수전 오른쪽 누각에 상원사 편액
- 탄허(呑虛)스님의 글씨 -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12) 가람의 중심인 문수전(文殊殿)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13) 문수전내부 문수보살님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14) 세조가 자객으로부터 화를 면하게 했다고 전해지는 고양이 석상
♡세조가 법당으로 들어서서 예불을 올리려는 순간 어디선가 고양이 한 마리가
나타나더니 세조의 곤룡포 자락을 물고는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했다.
이상한 생각이 든 세조는 즉시 병사를 풀어 법당을 뒤지게 했고,
그 결과 불상을 모신 탁자 밑에 숨어 있던 자객 셋을 발견했다.
조금만 늦었어도 자객의 칼에 의해 세조 목숨이 위태로웠음이 분명했다.
하여 세조는 목숨을 구해준 고양이를 찾았지만 고양이는 이미 어디론가 사라지고 없었다.
세조는 그 고양이에게 직접 감사의 마음을 표현하고 싶었으나 달리 방법이 없었기에,
차선책으로 논 5백섬지기를 절에 내리면서 해마다 고양이를 위해 제사 지내도록 명했다.
이로 인해 이 때부터 절에는 묘전(猫田 : 고양이 논), 묘답(猫畓)이란 명칭이 생겼으며
절에 바치는 쌀을 '고양이를 위한 쌀' 이라는 뜻에서 '고양미' 로 불렀다.
일설에 따르면 그 후 '고양미' 가 '공양미' 로 발음이 변했고,
문수전 입구 계단 좌측에 있는 고양이 석상은 그 사건을 기린 조각이라고 한다♡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15) 문수동자가 세조를 씻겨주는 불화
♡세조가 상원사에서 기도하던 어느날, 오대천의 맑은 물이 너무 좋아서 혼자
목욕을 하고 있었다. 그때 지나가던 한 동승에게 등을 밀어줄것을 부탁하였다.
목욕을 마친 세조는 동승에게 "어디 가든지 임금의 옥체를 씻었다고 말하지 말라" 고 하니
동승은 미소를 지으며 "어디 가든지 문수보살을 친견했다고 하지 마십시요" 하고는 홀연히
사라져 버렸다. 세조가 놀라 주위를 살피니 동승은 간 곳 없고 어느새 자기 몸의 종기가
씻은듯이 나은 것을 알았다. 이렇듯 문수보살의 가피로 불치병을 치료한 세조는
크게 감격하여 화공을 불러 그 때 만난 동자의 모습을 그리고, 목각상을 조각하게 하니
이 목각상이 바로 상원사의 문수동자상이다♡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16) 영산전(靈山殿)앞 단풍나무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17) 상원사 요사채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18) 청량선원(淸凉禪院)
 - 스님의 승방이다 -

 

 

↓ 19) 아름다운 단풍나무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20) 목우당앞의 나무 울타리와 단풍나무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21) 목우당(牧牛堂)
- 스님들이 거처하는 곳 -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 Recent posts